이용 대상부터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
경기도에서는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위해 경기도 광역이동지원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존 시·군 중심의 단거리 이동에서 벗어나, 광역권역 이동 수요까지 포괄하는 확장형 이동지원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서비스 개요
- 시행일: 2024년 12월 21일부터 본격 시행
- 운영시간: 매일 07:00 ~ 익일 01:00 (연중무휴)
- 운행구간: 경기도 내 31개 시·군 및 인접 시·도 간 광역 구간
가평군,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구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양평군, 여주시, 연천군,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하남시, 화성시
2. 이용 대상
- 각 시·군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콜택시)에 등록된 교통약자
- 예: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 교통약자 관련 법령 기준 해당자
3. 주요 특징
- 콜택시 기반 광역 이동 연계
- 스마트 예약 시스템 적용
- 경기교통공사 및 시·군 간 이중 배차 없이 통합 운영
4. 이용 절차
- 소속 시·군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에 사전 등록
- 콜센터 전화 또는 앱을 통한 광역 운행 요청
- 예약 확인 후 배차 및 탑승
- 2025년 5월 21일(수) 오전 9시 30분부터,기존 문자 안내(SMS) 대신 카카오톡 알림톡을 통해 배차 접수, 완료, 지연 등 주요 안내 메시지를 발송할 예정입니다. 카카오톡을 설치하고 사용 중이신 경우, 별도의 친구 추가 없이 알림톡으로 안내를 받게 됩니다.. 단,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기존처럼 문자(SMS)로 안내가 발송됩니다.
- 카카오톡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 카카오톡 알림톡 채널을 차단한 경우
5. 문의 및 안내
- 경기도교통공사 고객센터: 031-273-3000, 1666-0420
- 해당 시·군 콜택시 대표번호
경기도는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통복지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거주 지역 외로 병원, 교육, 복지시설 등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 광역이동지원서비스를 적극 활용해 보세요.
'복지정보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 급여 수급 요건과 준비물 A to Z (0) | 2025.05.22 |
---|---|
한부모가정 자립 지원금 신청 가이드 놓치지 마세요 (0) | 2025.05.22 |
노인 복지관 프로그램 자원봉사 참여 후기 공개 (2) | 2025.05.22 |
장애인 이동 지원 서비스 이용 절차 완벽 가이드 (1) | 2025.05.21 |
청년 주거 지원 정책 신청 방법 꿀팁 (1) | 2025.05.21 |